본문 바로가기

편린76

하드보일드(hard-boiled) 계란이 완숙되는 -> 비정-냉혹 자연주의적인, 또는 폭력적인 테마나 사건을 감정이 들어가지 않은 냉혹한 자세로 또는 도덕적 판단을 전면적으로 거부한 비개인적인 시점에서 묘사하는 것 냉정하고 무감각한 묘사방식으로 자연주의 혹은 현실적인 세계관을 폭력적으로 다루는 것 불필요한 수사는 일체 배제하고 신속하고 거친 묘사로 사실만을 쌓아 올리는 수법 감정을 드러내지 않거나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 냉담한 태도 상징 소품 담배(시가), 코냑, 바바리 코트, 고풍스러운 모자, 특별하게 개조된 총기, 클래식한 리볼버 영화복수는 나의 것, 황해 2016. 4. 14.
관념, 개념, 이상, 현실 관념(觀念)1.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2. 현실에 의하지 않는 추상적이고 공상적인 생각. 개념(槪念)1. 여러 관념(觀念) 속에서 공통(共通)된 요소(要素)를 추상(抽象)하여 종합(綜合)한 하나의 관념(觀念)2. 판단(判斷)의 결과(結果)로 얻어지며 판단(判斷)을 성립(成立)시키는 것으로 인간(人間)의 사고(思考)는 개념(槪念)에 의(依)해서 됨 이상(理想)1.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완전(完全)한 상태(狀態)2. 실현(實現)하고자 하는 궁극(窮極)의 목표(目標) 현실(現實)1. 현재(現在)의 사실(事實)이나 형편(形便) 이상과 현실의 균형감각. 2016. 3. 22.
여기가 로도스다. 여기서 뛰어라.(Hic Rhodus, hic saltus) 이솝 우화 중 하나로어떤 뻥쟁이가 있었는데, 자기가 로도스 섬에 갔을 때 아무도 따라할 수 없는 엄청나게 훌륭한 점프를 했고 이게 진짜라고 확인해줄 증인도 있다고 떠벌리고 다녔다. 가만히 듣고 있던 누군가가 이렇게 말한다, “좋다. 여기가 로도스 섬이다. 자, 여기서 뛰어 보라!”.결국 말로 떠벌리는 것은 아무 소용 없고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얘기다. 관념적인, 이상적인 논의는 부질 없고, 구체적 현실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출처 : http://socialandmaterial.net/ 헤겔, 마르크스가 인용, 변형하여 철학적 사유의 재료로 이용되었다. 2016. 3. 22.
픽미 픽미 픽미업 삼촌팬 하고 싶을 정도로 기분 좋아지는 '비주얼 쇼크' 이다만.치마를 격렬하게 펄럭거리며 제발 선택해달라고 구애하는 어린 소녀들을 보며 문득 생각나는 구절. "우리는 보편적 매춘의 시대에 살고 있다."- 마르크스 - 야릇한 웃음을 머금은채로 'I want you pick me up!' 이라 외치며 도열해 있는 사창가의 그녀들과 뭐가 다른가?가장 우려되는 지점은 자본주의의 위시를 받는 '무한경쟁의 논리'에 노골적으로 유린당하고 있는 '꿈을 꾸는' 소녀들의 영혼은 누가 어루만져 줄 수 있을까냐다. 이미 견고해진 인간 상품화에 대량화까지 얹혀가는 판국이니 앞으로 또 어떤 '기분 좋은'일이 있을런지... PICK ME - PRODUCE 101우리는 꿈을 꾸는 소녀들 너와 나 꿈을 나눌 이 순간 달콤한 너를 향한.. 2016. 3. 18.
실존주의 실존주의는 "지금 여기, 나 "를 제대로 자각하자는 주의입니다. 개인으로서의 인간존재의 주체성을 자각하자는 철학입니다. 실존주의 철학자인 키에르케고르가 말했듯이 "신 앞에 선 단독자"인 인간의 운명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인정하고 피하지 않을 때 - 지금, 여기, 불안을 직시할 때 -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존주의는 "지금, 여기", "인간, 주관" 을 강조하기 때문에, 기존의 "합리, 이성", "신" , "이데아", "객관" "미래" "남성" "집단" 을 중시했던 서양의 사상적 흐름과는 반대됩니다. 실존주의 철학이 등장한 이후 여성, 장애인 등과 같이 기존에 차별받았던 이들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하는 수많은 사회운동들이 등장했던 것도 이 같은 맥락입니다. 또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죠. .. 2016. 3. 17.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16세기 영국의 금융가였던 그레샴이 주장한 것으로 '그레샴의 법칙'이라고 알려져 있음. 당시 영국 정부가 재정 부담을 줄이고자 표시된 금액은 같지만 순도가 떨어지는 통화나 은화를 이따금 생산하기도 했는데, 이 때 사람들이 순도가 높은 주화는 저장해 두고 순도가 낮은 주화만 널리 사용한데서 이 법칙이 나오게 됨. 다시 풀어말하면 액면가치(표면상의 가치)가 같은 물건일때 실질(실질적인 가치)가치가 높은 것을 사용하지 않고 실질가치가 낮은 물건을 사용할 때 쓰임. 예를 들자면, 금이 10만원의 가치를 지닌다고 할 때, 금은 10만원의 가치가 있지만 10만원은 단순한 종이에 불과함.이때 금은 양화에 비유되고 10만원은 악화에 비유됨사람들은 금과 10만원이 있을때 실질적 가치가 있는 금은 사용하지 않고 10만원이.. 2016. 3. 17.
페이지터너 page-tunner, 페이지터너책장 넘기기가 바쁠 정도로 흥미진진한 책 2016. 3. 15.
'자기개발'과 '자기계발' 자기개발(開發, Self-Development)자기에 대한 새로운 그 무엇을 만들어냄. 또는 자신의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자기계발(啓發, Self-Improvement)자신의 잠재되어 있는 자신의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움. 자기개발은 유형/외적/사람/결과자기계발은 무형/내적/사람 and 사물/과정 자기개발비(x)자기계발비(o) 2016. 3. 14.
최근 10년간 사랑받은 작가 - 교보문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3&sid2=243&oid=001&aid=0008224084&rc=N 2016. 3. 3.
운명과 숙명 운명(運命)1.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을 지배하는 초인간적인 힘. 또는 그것에 의하여 이미 정하여져 있는 목숨이나 처지.2. 앞으로의 생사나 존망에 관한 처지. 숙명(宿命)날 때부터 타고난 정해진 운명. 또는 피할 수 없는 운명 命(목숨 명) 운명 : 불변하나 왠지 바꿀 수 있을 것 같은 어감숙명 : 불변하나 왠지 바꿀 수 없을 것 같은 어감 근데 숙명은 운명이 없으면 성립되지 않으니 숙명도 바꿀 수 있을 것 같은 어감으로 생각해야 하나? 2016. 2. 16.
객관과 주관 객관적(客觀的)자기와의 관계에서 벗어나 제삼자의 입장에서 사물을 보거나 생각하는. 또는 그런 것. 주관적(主觀的)자기의 견해나 관점을 기초로 하는. 또는 그런 것. 내가 생각하는 객관과 주관의 차이는 사전적 의미와 다르다. 객관이란 자기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긍정과 부정을 판단하는 것이고,주관이란 자기와 평가주체의 관계에서 형성된 뉘앙스를 바탕으로 긍정과 부정을 판단하는 것이다. 결국사전적 의미의 객관과 주관이 자기의 견해를 연동하느냐 마느냐로 구분된다면객관, 주관 모두가 자기의 견해를 연동하는 것을 기본 전제하고, 주관의 경우 '평가주체와의 관계'가 추가로 연동된다는 것이다. 2016. 2. 6.
'예를 들면'과 '이를테면' 예를 들면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함 이를테면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이해하기 쉬운 사례를 들어 설명함 2016. 2. 4.
검증과 검수 검증(檢證)검사하여 증명함 검수(檢修)점검하여 수리함 애플리케이션 내부 검증 X애플리케이션 내부 검수 O 2016. 1. 26.
여지와 여력 여지는 있으나 여력은 없다.여력은 없으나 여지는 있다. 여지(餘地)[명사] 남은 땅. [의존명사] 어떤 일을 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나 희망. 여력(餘力)[명사] 어떤 일에 주력하고 아직 남아 있는 힘. 2016. 1. 20.
2016 신춘문예 소설부문 당선작 모음 시간 날 때마다 읽어 볼 생각으로 pdf(only 소설)로 만들어봤다. 관심 있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서 다운로드 걸어 놓는다. 독서 목적으로만 쓰길... 다운로드 주최분야당선작강원일보소설보기 시보기 동화보기 동시보기경남신문소설보기 시보기 시조보기 동화보기 수필보기경상일보소설보기 시보기 시조보기 동시보기 동화보기 희곡보기경인일보소설보기 시보기경향신문소설보기 시보기 평론보기광남일보소설보기 시보기 평론보기광주일보소설보기 시보기 동화보기국제신문소설보기 시보기 시조보기 동화보기농민신문소설보기 시조보기대전일보소설보기 시보기 동시보기 동화보기동아일보중편보기 단편보기 시보기 시조보기 희곡보기 시나리오보기 동화보기 문학평론보기 영화평론보기매일신문소설보기 시보기 시조보기 동화보기 동시보기 수필보기무등일보소설보기 시보기 .. 2016. 1. 13.
교정과 교열 글 완성의 마무리 과정 교정(矯正)틀어지거나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네이버 국어사전)-> 쉽게 말해서 오자와 탈자를 바로잡는 일 교열(校閱)문서나 원고의 내용 가운데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고치며 검열함(네이버 국어사전)-> 교정을 포함하며, 문장을 바로잡는 일-> 단어의 정확하고 적확한 뜻, 문법, 문장 구성, 의미 및 내용의 흐름, 시제 일치, 통계의 수치등을 망라해서 그 관계의 전후 흐름까지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교정은 피상적교열은 본질적 우리나라의 편집자는 어느 정도 수준의 교열을 하고 있을까?아니 시켜주기는 할까? 2015.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