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편린

루쉰의 눌함(吶喊)

by 충청도 자손박 2017. 5. 15.

吶(말 더듬을 눌, 떠들 납)喊(소리치다, 고함지르다)
눌함, 납함 : 
적진을 향하여 돌진할 때 군사가 일제히 고함을 지름.

‘광인일기’가 수록된 ‘눌함’(吶喊·1923)은 루쉰이 1918년부터 1923년까지 쓴 소설들을 모아놓은 작품집이다. 루쉰은 중화민국이 성립된 1912년부터 ‘신청년’에 본격적으로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 1919년까지 소흥회관에 살면서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고문서를 베끼는 일에 몰두했다. 이는 군벌정부의 눈을 피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자기 존재와 세계를 통찰하는 통과의례의 시간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루쉰은 자신의 글이 이 세계를 설명할 수 있는 절대적인 수단이나 목적이 아님을 알면서도 문학을 투쟁의 무기로 삼고, 글쓰기에 전 존재를 걸었다. 소설집의 제목 ‘눌함’은 ‘함성’이란 뜻이다. ‘삼국지’나 ‘수호지’에서 중앙으로 나와 싸움을 주고받는 무사를 향해 양진영의 병졸들이 깃발을 흔들고 소리를 내질러 응원하는 것을 ‘요기눌함’(揺旗吶咸)이라 한다. ‘눌함’은 바로 여기서 따온 말이다. 루쉰은 민중을 선동해 앞길을 제시하는 영웅의 존재를 믿지 않았고, 다만 투쟁하는 이들을 응원하기 위해 글을 썼다. 이것이 지식인의 한계이지만, 또한 지식인이 할 수 있는 전부라고 생각했다. ‘눌함’이 나오기까지 루쉰은 이런 한계에 대한 철저한 자각의 시간을 통과해야 했던 것이다.

‘눌함’에 실린 작품들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아큐정전’이다. 아큐는 자각과 통찰 없이 시대의 조류에 휩쓸려 간 인물의 전형으로, 자기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모든 상황을 잘못 해석하고 함정에 빠져버리는 어리석은 인간이다. 그러나 소설은 이런 어리석은 아큐를 비판하는 것에 멈추지 않는다. 소설의 맨 마지막, 아큐가 처형당하는 장면을 구경하려고 모인 사람들에게서 아큐는 굶주린 식인의 시선을 본다. 

“잔혹을 오락으로 삼고, 남의 고통을 구경하면서 위안”(‘수감록’)하는 자들이야말로 식인의 역사를 계승하는 무기력한 사람들이다! 광인이 본 식인의 잔혹사는 이렇게 ‘아큐정전’에서 반복된다.

'편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셉션, 숏 중 오브제  (0) 2017.06.07
존 그리샴의 글쓰기 팁  (0) 2017.06.07
BEYOND TWO SOULS  (0) 2017.06.05
황금비(Golden ratio) 1 :1.61803, 1:0.61803  (0) 2017.05.26
읽기의 시간과 무게, 부피, 질량의 관계  (0) 2017.04.23
독트린 doctrine  (0) 2017.04.14
스몸비  (0) 2017.03.29
바다에 오는 이유  (0) 2017.03.28
무지의 베일(the veil of ignorance)  (0) 2017.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