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적(qualatative)
특정 대상의 성질이 어떠한가?, 묘사
계량화 하기 힘든 효과(ex : 이러한 개선활동으로 업무만족도가 향상되었다.)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유연한 질문을 할 수 있음
조사 대상 및 내용에 대해 깊은 이해가 가능
합리적인 설명이 불가능한 내용에 대하여 답변을 얻을 수 있음
소비자의 독창적 아이디어를 이끌어 낼 수 있음
자료의 성질, 특징을 자세히 풀어 쓰는 방식. 즉, 수치로 표현은 되지 않으며 말로써 풀어 쓰는 것
숫자나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것(ex : 만족도, 선호도...)
사람들이 느끼는 심리적 효과
경향, 추세
정량적(quantitive)
특정 대상의 양이 얼마나 되는가?, 수치
계량화가 가능한 효과(ex : 이러한 개선활동으로 100만원의 영업이익을 보았다.)
정밀하고 통계적이며 수치적인 측정을 함
통계학적으로 견본이 될 수 있는 표본을 대량으로 사용
분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야 함.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사를 반복할 수 있어야 함
자료를 수치화 하는 것
숫자나 금액으로 환산할 수 있는 것
경제적인 기대 효과
'편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로노스 vs 카이로스 (0) | 2016.07.06 |
---|---|
이성 vs 감성 (0) | 2016.06.21 |
중계 vs 중개 (0) | 2016.06.13 |
무지의 소치(아는 것이 없어 생긴 일) (0) | 2016.06.07 |
코호트 효과(cohort effect) (0) | 2016.05.13 |
하드보일드(hard-boiled) (0) | 2016.04.14 |
관념, 개념, 이상, 현실 (0) | 2016.03.22 |
여기가 로도스다. 여기서 뛰어라.(Hic Rhodus, hic saltus) (0) | 2016.03.22 |
픽미 픽미 픽미업 (0) | 2016.03.18 |